귀순병사 기생충 발견 소식이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으로 총상을 입은 채 귀순해 사경을 헤매는 북한군 병사를 살리기 위한 수술이 이어지는 가운데 귀순 병사의 몸에서 기생충 수십 마리가 발견됐기 때문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귀순병사 기생충은 이 때문에 주요 포털 핫이슈 키워드로 등극했습니다. 누리꾼들은 “북한 병사들은 도대체 뭘 먹는거야” “핵무기 개발할 돈으로 북한 군인들과 주민들 음식이나 좀 줘라” 등의 반응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15일 아주대병원 이국종 교수는 귀순 병사에 대해 지난 13일과 이날 2차례에 걸쳐 진행한 수술의 경과와 환자 상태를 언론에 설명하는 과정에서 ‘기생충’을 언급했다.
이국종 교수는 "귀순병사의 파열된 소장의 내부에서 수십 마리의 기생충 성충이 발견됐다"며 "큰 것은 길이가 27㎝에 달해 회충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기생충에 의한 오염이 매우 심한 상태였다"며 "기생충은 총상 이후 상처로 들어간 것이 아닌 원래 병사의 몸속에 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생충에 의한 질환은 소외질병(Neglected diseases)으로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의 개도국 저소득계층에서 풍토병으로 자리 잡은 감염성 질환 가운데 하나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기생충이 창궐할 당시 기생충박멸협회(현 건강관리협회)를 창설, 기생충 퇴치에 나섰다. 이에 기생충 감염률은 1971년 84.3%에서 2004년 4.3%로 크게 떨어져 기생충 박멸의 모범 국가로 꼽히고 있다.
한편 기생충이 발견된 귀순 병사의 키와 몸무게도 각각 170㎝와 6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장 길이 또한 1m60㎝로 한국 남성의 평균치인 2m에 비교해
짧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 교수는 "짧은 소장 길이로 인해 소화 기능이 온전치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며 "소장에서 발견된 음식물이 변에 가깝게 굳어 있었는데 섭식에 문제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고 실제로 영양상태도 불량하다"고 설명했다.
병원 측은 현재 귀순 병사의 오염 부위를 제거하고 복벽에 남아있던 총알 1발을 제거하는 2차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지만, 아직 위중한 상황이라고 병원 측은 밝혔다.
홍성태 서울대의대 기생충학교실 교수는 "북한에 회충이 엄청나게 많다. 북한 병사가 소장을 다쳤다고 하는데, 회충은 소장에 산다"며 "2005년 중국 연변대학과 함북 회령시 주민의 회충 감염률을 조사했더니 절반이 감염돼 있었다"고 말했다.
회충은 채소를 기를 때 비료가 부족해 인분을 사용하면서 번지는데, 채소를 사람이 먹고 인분을 다시 쓰고, 이런 과정에서 확쇤된다. 회충은 장 수술을 하면 수술 상처 부위로 회충이 뚫고 나오기도 하며, 회충이 영양분을 빨아 먹어 영양실조를 초래하기도 한다고 전해진다. 또 총상 뿐만 아니라 장에 약한 부위를 뚫고 나와서 복막염을 일으키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응급상황이 생긴다.
홍 교수는 "환자가 잘 회복하고 상처가 아물면 구충제로 치료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핫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월호 미수습자 장례 전날 유해발견, 해양수산부 진상 조사 (0) | 2017.11.23 |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영평상 대상 홍상수 감독 (0) | 2017.11.17 |
경북 포항시 북구 지진 발생, 규모는 5.5 여진 피해 우려 (0) | 2017.11.15 |
톱스타부부 송중기 송혜교 31일 결혼 (0) | 2017.10.31 |
김주혁 교통사고 사망원인은 심근경색? (0) | 2017.10.31 |